반응형
원칙을 삶에 적용하여 성장하는 내가 된다.
처음 뵙는 게리롱 강사님. 웃으며 쉽게 설명해 주시는 강의 같지만 그 속에 있는 내용은 결코 가볍지 않았다.
원칙 = 불변, 기준 = 가변
강의를 들으며 투자 과정을 정리해 봤다.
예습 | 수업 - 내가 몸으로 해보는 것 | 복습 | 무한 반복 언제까지? |
합격 |
강의 | 임장, 임보, 투자, 전세setting | 예습, 수업 & 투자 복기 |
무한 반복 언제 까지? |
노후 대비 완성 |
저.환.수.원.리 / 가치 투자 / |
||||
독/강/임/투/인 |
||||
저 환수 |
: 가치 있는 것을 가치보다 싸게 사는 것
- 비교평가 : 가치있는 것 중 2. 비슷하게 좋은데 더 싼 게 있나?
- 3. 비교 대상이 많을 수록 유리함
- 1. 같은 가격에 더 좋은거 있나?
- Point : 저평가와 저가치 구별하기 (색칠 구간 : 싸다 = 저평가 )
환금성 : 매도할 때 남들이 찾는 물건 _ 요즘 아파트를 보며 내가 생각하고 있는 부분이라 더 신경 써 듣게 된 부분
- 입지와 연식에 따른 선호도를이해하고 투자범위 & 매도계획을 설정한다.
- 가치, 평형, 연식, 세대수
- Point - 구매 시점의 나의 관점이 아닌 매도 시점의 구매자의 관점 : 사고 싶은가?
수익성 : 보유한 투자금으로 (좋은 것에 투자해) 충분한 수익은 낸다
-알고 있는 지역과 단지가 얼마나 많은가?에 달려있다.
- 수요가 풍부하고 가치가 있는 물건을 산다
- 수익률(=투자금을 줄이는 것)에 집착하지 않는다
- 싼 구간에 산다.
- 어떤 게 더 싸지?
- 어떤 게 투자금이 더 적게 들지?
- 둘 다 할 수 있다면, 어떤게 더 좋지?
- ( 경험 전 이라서 세 가지 질문을 중심으로 의사 결정해야겠다.)
- Point : 믿음을 갖고 버텨라.
원금보존 : 전세가율이 높은 단지에 투자 + 원금 ‘절대’ 지킨다
- Point : 적절한 전세가율 - 역전세를 대비하는 우리의 자세
- 지금 전세가율(=전세가)이 적절한 수준인가?
- 수요가 많고 가치가 있는 물건인가?
- 단기 입주물량이 적절한가? ( 리스크)
- Point : 원급보존 - 감당 가능한 수준인가? 매도 or 보유
- 수익이 났는가?
- 매도 후 더 좋은 자산을 매수할 수 있나?
- 예정된 리스크가 있는가?
- 장기보유 할 만큼 가치가 있는가?
리스크 : 감당가능한 리스크에 투자하고 대응한다.
- 예상되는 리스크가 있는가?
- 리스크를 감수할 만큼 매력적인가?
- Point : 감정에 휘둘리지 말고 감당 가능한 범위에서 투자.
무리한 전세가를 고집하지 않는다.
과도한 대출을 활용해 투자하지 않는다.
전세 상승분으로 무리하게 재투자X
감당 가능한 규모로 운용한다.
투자 프로세스 _
정보수집 | 투자기준 | 가격관찰 | 계약 (매수) |
가치를 파악함 (아는 지역 & 단지) |
추자기준을 적용해 투자물건 선별 |
단지들의 가격을 계속 지켜 봄 |
마지막까지 깍아서 더 싸게 |
투자원칙 | |
저평가 | 가치 대비 싼가 |
환금성 | 원할 때 매도가 가능한가 |
수익성 | 투자금 대비 수익이 충분한가 |
원금보존 | 내 투자금을 잃지 않을 수 있나 |
리스크 | 수익이 날 때까지 잘 보유할 수 있나 |
복기 시기 : 1단계 _ 투자완료직후 / 2단계 - 3~6개월 후 평온해졌을 때 / 3단계 - 1~2년 후
복기를 한 투자자: 통찰력을 갖는다 → 실력 상승
독서 _ 적용해야 진짜 독서. 한 가지만 적용 많음 2가지 (평소 내 생각과 같음)
- 나침반
- 가성비
- 공략집
과정 : 나의 문제 - 요약 (One message)- 나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적용점
적용 과정 - 성찰하고 어? 안되고 있네 다시 해야지 - 재 적용
추천 독서 : 찰리멍거 바이블, 투자에 대한 생각, 원씽, (한 권? 기억이….)
- Point : 독서를 통한 투자 & 삶의 변화점 및 방향성 & 목적지 도달하기
내가 적용할 점 : 원칙에 원칙을 세우고 지키기!
- 앞마당 3개 만들기 - 1월까지 앞마당 5개 만들기
- 체크 리스트 보강 _ 가치, 평형, 연식, 세대수 기준 넣은 체크리스트 만들고 체크해 보기
- 오래 하고 싶은 것이니 원칙을 세기고 지키자
- 예습 - 본 수업 - 복습 잘하자
- 독서하자
반응형